통일칼럼(교육): ‘우리의 위대한 수령 김일성…’ 부터 바뀌어야 가능
- Headline
- Top Headline
- 오피니언
- 정치
북한의 유아교육
북한은 아동을 주체적혁명가로 육성하기 위해 집단주의 정신,사회주의 제도의 우월성, 남한과 미국의 적개심, 노동의욕 등을 다양한 방법으로 고취시키도록 강조한다.
북한에서 76년 4월에 ‘어린이 보육 교양법’을 공포했는데 만 3개월부터 인민학교에 들어가기 전까지의 아동을 탁아소와 유치원에서 키우는 것을 법제화했다. 특히 탁아소부터 간식을 줄 때마다 ‘김일성 원수님 고맙습니다’라고 한다거나 ‘우리의 위대한 수령 김일성…’하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추게 하는 교육과정이 담겨져 있다.
북한 어린이들은 만 4세가 되면 유치원에서 2년간 교육을 받는다. 유치원의 학습목표는 기초적인 어휘 익히기, 숫자 보기와 쓰기, 노래, 유희 등이며 탁아소와 마찬가지로 조직생활과 규칙적인 생활을 통해 김일성, 김정일에 대한 복종심과 충성심을 익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유아들은 하루일과는 유치원에 도착하는데로 벽에 걸린 김일성 초상화 앞에 모여 충성의 맹세를 하는 것에서 작한다. ‘아버지 김일성 원수님의 충직한 아들딸이 되겠습니다’그후 김일성의 조부모, 부모 외가친척의 이름과 출생지,출생연도,사망연도,생전의 업적을익히는 정치사상교육, 미국과 남한의 제국주의자, 자본가, 지주, 종교인에 대한 적개심을 일깨우는 계급 교양 시간, 김일성을 찬양하는 노래시간 등이 이어진다.
우리나라 유아교육
우리나라 유아교육은 1969년도에 유치원 교육고정령이 공포된 후 79년,81년,82년에 걸쳐 3번의 개정이 있었다.
개정된 교육과정에서 밝히는 유치원 교육의 목적 ‘유치원 아동에게 알맞는 교육환경을 마련해 줌으로써 그들이 전인적으로 성장할 수 잇도록 도와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며 이를 위해 세부적인 목표를 세웠다.
1.기본적인 감각기능과 운동기능을 기르고, 신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이루게 한다.
2.자신과 주변세계를 긍정으로 받아들이게 하고, 자기의 느낌과 경험을 창의적으로 표현하게 한다.
3.다른 사람의 말을 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하고, 자기 생각을 말로 표현할 수 있는 기초적인 언어기능을 가지게 한다.
4.자연과 사회현상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도우며, 논리적이고 과학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문제 해결능력을 가지게 한다.
5.가족과 이웃을 사랑하는 태도를 가지게 하고 일생생활에 필요한 기본적인 예절과 규범을 지키도록 한다.
우리나라 유치원의 교육내용은 주로 언어, 사회, 수학, 미술, 음악, 문학 등이다.
(위에 언급된 내용은 현재 사회의 중축 역할을 하고 있는 4,50대들이 받은 교육의 실체다.)
북한과 우리나라의 유아교육을 살펴보면 제일 큰 차이는 사상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의 유아고육은 자유로운 민주시민의 육성에 목표를 두고 있으나 북한은 공산주의 이념보다도 김일성 개인 숭배 사상의 주입에 역성을 두고 있다.그리고 북한의 지침은 절대적인 것으로서 그들의 설정한 유형의 인간이 확실하게 생산되도록 규정되어 있는 반면 우리나라는 강제성을 띄고있지 않다.
제일 위험한 점은 주로 김일성과 김정일의 어린시절을 배우며 모든 활동이 개인숭배와 미국의 적개심을 키우기 위한 내용과 결부되어 있다는 것이다.
완전히 다른 환경에서 자라온 남한과 북한의 유아들은 성인이 되면 더 분면한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남북통일이 되려면 숭배주의와 극단주의 교육이념을 우선으로 해결해야 한다. 현재 언론에서 거의 남-북 통일이 이루어진 것처럼 보도하고 있지만 사실상 남북통일 문제는 이념과 사상 문제가 개입되어 있다.
북한은 철저히 교육으로부터 국민들을 통제하고 복종심과 충성심을 기르려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것은 공산주의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실현과도 완전히 다르다. 우리나라는 민주주의의 전인격적인 인간으로서 자유 시민을 양성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북한은 자유와 정반대인 통제로 나라를 치리한다. 통일이 되려면 북한은 사람을 ‘통제의 대상’으로 보는 관점을 우선적으로 바꿔야 한다. 정치적 이념이 다르다면 통일이 이루어진다해도 나라는 또 붕괴될 것이다.
참고문헌: 洪順玉 (1990). 공산주의 국가의 유아교육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6, 53-80